대체재, 보완재, 기펜재, 열등재란 무엇일까?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할 때, 다른 상품과의 관계에 따라 그 상품의 수요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때 상품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로 대체재, 보완재, 기펜재, 열등재가 있습니다. 이들 용어의 정의와 예시를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대체재란 무엇인가?
대체재란 어떤 상품의 가격이 오르면 그 상품 대신에 구입할 수 있는 다른 상품을 말합니다. 대체재는 서로 비슷한 기능이나 효용을 제공하는 상품입니다.
대체재의 가격이 오르면 원래 상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내리면 감소합니다. 즉, 대체재는 상품 간의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냅니다.
대체재의 예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우유와 두유: 우유의 가격이 오르면 두유의 수요가 증가하고, 우유의 가격이 내리면 두유의 수요가 감소합니다.
- 햄버거와 샌드위치: 햄버거의 가격이 오르면 샌드위치의 수요가 증가하고, 햄버거의 가격이 내리면 샌드위치의 수요가 감소합니다.
- 기름과 전기: 기름의 가격이 오르면 전기차의 수요가 증가하고, 기름의 가격이 내리면 전기차의 수요가 감소합니다.
보완재란 무엇인가?
보완재란 어떤 상품의 가격이 오르면 함께 구입하는 상품을 말합니다. 보완재는 서로 다른 기능이나 효용을 제공하지만, 함께 사용되는 상품입니다.
보완재의 가격이 오르면 원래 상품의 수요가 감소하고, 내리면 증가합니다. 즉, 보완재는 상품 간의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냅니다.
보완재의 예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치킨과 맥주: 치킨의 가격이 오르면 맥주의 수요가 감소하고, 치킨의 가격이 내리면 맥주의 수요가 증가합니다.
- 핸드폰과 충전기: 핸드폰의 가격이 오르면 충전기의 수요가 감소하고, 핸드폰의 가격이 내리면 충전기의 수요가 증가합니다.
- 신발과 양말: 신발의 가격이 오르면 양말의 수요가 감소하고, 신발의 가격이 내리면 양말의 수요가 증가합니다.
기펜재란 무엇인가?
기펜재란 어떤 상품의 가격이 하락하면 그 상품을 덜 구입하는 상품을 말합니다. 기펜재는 소비자의 소득 수준이나 선호도에 따라 수요가 달라지는 상품입니다.
기펜재의 가격이 하락하면 원래 상품의 수요가 감소하고, 상승하면 증가합니다. 즉, 기펜재는 상품 간의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냅니다.
기펜재의 예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감자: 감자의 가격이 하락하면 사람들은 감자 대신에 밥이나 빵 같은 곡물을 더 구입하고, 감자의 가격이 상승하면 사람들은 감자를 더 구입합니다.
- 명품: 명품의 가격이 하락하면 사람들은 명품의 가치가 떨어졌다고 생각하고 명품을 덜 구입하고, 명품의 가격이 상승하면 사람들은 명품의 가치가 올랐다고 생각하고 명품을 더 구입합니다.
- 보험: 보험의 가격이 하락하면 사람들은 보험의 효용이 낮아졌다고 생각하고 보험을 덜 구입하고, 보험의 가격이 상승하면 사람들은 보험의 효용이 높아졌다고 생각하고 보험을 더 구입합니다.
열 등제란 무엇인가?
열등재란 어떤 상품의 가격이 하락하면 그 상품을 더 구입하는 상품을 말합니다. 열등재는 소비자의 소득 수준이나 선호도에 따라 수요가 달라지는 상품입니다.
열등재의 가격이 하락하면 원래 상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상승하면 감소합니다. 즉, 열등재는 상품 간의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냅니다.
열등재의 예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버스: 버스의 가격이 하락하면 사람들은 버스를 더 이용하고, 버스의 가격이 상승하면 사람들은 버스를 덜 이용합니다.
- 쌀: 쌀의 가격이 하락하면 사람들은 쌀을 더 구입하고, 쌀의 가격이 상승하면 사람들은 쌀을 덜 구입합니다.
- 중고차: 중고차의 가격이 하락하면 사람들은 중고차를 더 구입하고, 중고차의 가격이 상승하면 사람들은 중고차를 덜 구입합니다.
각 제품의 시장 역할
- 대체재는 소비자의 선택을 다양화하고, 경쟁을 촉진하며, 가격을 안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콜라와 사이다는 대체재입니다. 콜라의 가격이 오르면 소비자는 사이다를 구입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콜라의 수요가 감소하고, 콜라 제조업체는 가격을 인하하거나 품질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사이다의 가격이 오르면 콜라의 수요가 증가하고, 사이다 제조업체는 가격을 인하하거나 품질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대체재는 소비자의 선택권을 넓히고, 제조업체 간의 경쟁을 격화시키며, 가격의 폭등이나 폭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 보완재는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상호 의존성을 강화하며, 시장 규모를 확대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커피와 쿠키는 보완재입니다. 커피와 쿠키를 함께 먹으면 맛도 좋고 기분도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커피와 쿠키의 수요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습니다. 커피의 가격이 내리면 커피의 수요가 증가하고, 쿠키의 수요도 증가합니다.
반대로 커피의 가격이 오르면 커피의 수요가 감소하고, 쿠키의 수요도 감소합니다. 이렇게 보완재는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여주고, 제조업체 간의 상호 의존성을 강화시키며, 시장 규모를 확대하는 역할을 합니다.
- 기펜재는 소비자의 선호도나 심리적 요인에 따라 수요가 달라지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명품은 기펜재입니다. 명품은 고가이지만 품질이나 기능이 뛰어난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명품에 대한 선호도나 심리적 요인 때문에 명품을 구입합니다. 명품의 가격이 내리면 소비자들은 명품의 가치가 떨어졌다고 생각하고 명품을 덜 구입합니다.
반대로 명품의 가격이 오르면 소비자들은 명품의 가치가 올랐다고 생각하고 명품을 더 구입합니다. 이렇게 기펜재는 소비자의 선호도나 심리적 요인에 따라 수요가 달라지는 역할을 합니다.
- 열등재는 소비자의 소득 수준에 따라 수요가 달라지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버스는 열등재입니다. 버스는 저렴하지만 편리하지 않은 교통수단입니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소득 수준에 따라 버스를 이용합니다. 버스의 가격이 내리면 소비자들은 버스를 더 이용하고, 버스의 가격이 오르면 버스를 덜 이용합니다. 그러나 소득 수준이 오르면 소비자들은 버스 대신에 택시나 자동차 같은 고급 교통수단을 이용합니다.
반대로 소득 수준이 내리면 소비자들은 택시나 자동차 대신에 버스를 이용합니다. 이렇게 열등재는 소비자의 소득 수준에 따라 수요가 달라지는 역할을 합니다.
'경제 >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란?|예시포함 (0) | 2023.10.11 |
---|---|
시간외거래(매매)란? (0) | 2023.10.10 |
언더독효과|활용 방법|예시 (0) | 2023.10.08 |
주식투자자의 종류|개인|기관|외국인 (0) | 2023.10.07 |
의존효과란? (0) | 2023.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