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사회|문화
경제/경제상식

시간외거래(매매)란?

by Ajayjay 2023. 10. 10.
반응형

주식 전광판 사진
시간외 매매란[사진출처:unsplash]


시간외 매매와 위험 요소


1. 시간외 매매란 무엇인가?

시간외 매매란 정규 주식시장이 종료된 후, 추가적인 거래 기회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시간외 매매는 오후 4시부터 6시까지 진행되며, 10분 단위로 거래가 체결됩니다.


2. 시간외 매매의 특징

시간외 매매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가격제한폭이 적용됩니다: 시간외 매매에서는 당일 종가의 ±10% 범위 내에서만 거래할 수 있습니다. 즉, 당일 종가가 10,000원이었다면, 시간외 매매에서는 최대 11,000원, 최소 9,000원까지만 거래할 수 있습니다.

 

  • 동시호가 방식으로 거래됩니다: 시간외 매매에서는 매수와 매도의 호가를 동시에 접수하고, 일정 시간 후에 한 번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거래됩니다. 이를 동시호가 방식이라고 합니다. 동시호가 방식은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공정하게 반영하고, 가격변동을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 거래대상 종목이 제한됩니다: 시간외 매매에서는 모든 종목이 거래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기준을 충족하는 종목만 거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코스피 시장에서는 상장주식수가 1억주 이상이고, 당일 거래량이 10만주 이상인 종목만 시간외 매매가 가능합니다.

3. 시간외 매매의 위험

그렇다면, 시간외 매매에서는 어떠한 위험이 있을까요? 시간외 매매는 정규 장에 비해 거래량이 적고, 가격제한폭이 적용되기 때문에 가격변동이 덜하지만, 그만큼 위험도가 높습니다. 시간외 매매에서는 다음과 같은 위험이 있습니다.

 

  • 가격차익을 이용한 사기: 시간외 매매에서는 정규 장의 가격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규 장에서 10,000원에 거래된 주식이 시간외 매매에서 11,000원에 거래된다면, 이는 10%의 가격차익이 발생한 것입니다. 이러한 가격차익을 이용하여, 일부 사기꾼들은 정규 장에서 저렴하게 매수한 주식을 시간외 매매에서 고가로 팔아서 이익을 챙기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때, 시간외 매매에서 고가로 매수한 투자자들은 다음날 정규 장에서 가격이 하락할 경우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 거래상대방의 신용도 문제: 시간외 매매에서는 거래상대방의 신용도를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증권거래소에서는 거래상대방의 신용도를 보증하고, 거래실패에 대한 보상제도를 운영하지만, 시간외 매매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따라서, 시간외 매매에서는 거래상대방이 계약을 이행하지 않거나, 거짓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에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 시장정보의 부족과 불확실성: 시간외 매매에서는 정규 장에 비해 시장정보가 부족하고 불확실합니다. 시간외 매매에서는 거래내역이 공개되지 않기 때문에, 거래량과 호가 등의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시간외 매매에서는 장중에 발생할 수 있는 호재나 악재를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시간외 매매에서 상한가에 가까운 가격으로 거래된 주식이 다음날 장중에 악재가 발생하여 하락할 경우, 투자자들은 큰 손실을 입을 수 있습니다.

 

시간외 매매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하고 위험 요소들을 설명해보았습니다. 시간외 매매는 투자자들에게 추가적인 수익 기회를 제공하지만, 그만큼 위험도가 높습니다. 따라서, 시간외 매매를 하기 전에는 잘 알아보고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