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모의 경제
규모의 경제의 정의
규모의 경제란 많이 만들수록 한 개당 비용이 줄어드는 현상을 말합니다 . 예를 들어, 케이크를 10개 만들 때 한 개당 비용이 2천 원이라면, 케이크를 100개 만들 때 한 개당 비용이 1천 원으로 줄어들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많이 만들수록 한 개당 비용이 줄어드는 현상을 규모의 경제라고 합니다.영어로는 economies of scale이라고 합니다. 스케일, 즉 규모가 커질수록 경제적 이익 (한 개당 비용이 줄어드는 이익)이 있다는 정도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규모의 경제가 생기는 원인
규모의 경제가 생기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분업과 전문화: 많이 만들려면 작업을 나눠서 각각 잘하는 사람이나 기계가 하면 더 빠르고 잘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케이크를 만들 때 한 사람은 반죽만 하고, 한 사람은 굽기만 하고, 한 사람은 장식만 하는 것처럼 말이죠.
- 고정비용의 분산: 많이 만들기 위해서는 공장이나 기계 같은 큰 돈이 필요한 것들을 사야 합니다. 이런 것들은 많이 만들든 적게 만들든 같은 돈이 듭니다. 그래서 많이 만들면 이런 돈을 더 많은 케이크로 나눌 수 있어서 한 개당 돈이 줄어듭니다.
- 단위변동비용의 감소: 많이 만들기 위해서는 재료나 전기 같은 작은 돈이 필요한 것들을 써야 합니다. 이런 것들은 많이 만들수록 더 많은 돈이 듭니다. 그런데 많이 만들면 재료나 전기를 싸게 사거나 아끼게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재료를 대량으로 구매하거나, 전기를 절약하는 기계를 사용하는 것처럼 말이죠.
- 기술적 진보: 많이 만들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을 배우거나 개발할 수 있는 여유가 생깁니다. 새로운 기술은 더 잘하거나 더 싸게 하거나 더 예쁘게 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경영적 효율성: 많이 만들기 위해서는 사장님의 능력이나 회사의 구조를 바꿀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잘하는 사람을 고용하거나, 부서를 나누거나, 컴퓨터를 활용하거나, 교육을 강화하는 등의 방법으로 회사를 더 잘 운영할 수 있습니다.
- 시장력의 확보: 많이 만들기 위해서는 시장에서 다른 회사보다 더 강해져야 합니다. 예를 들어, 가격을 낮추거나, 공급량을 조절하거나, 판매처를 늘리거나, 광고를 하거나 하는 등의 방법으로 시장에서 더 많은 사람들이 케이크를 사게 할 수 있습니다.
규모의 경제와 범위의 경제
규모의 경제와 비슷한 개념으로 범위의 경제라는 것이 있습니다. 범위의 경제란 한 회사가 여러 종류의 케이크를 만들 때, 각 종류의 케이크를 따로 만드는 것보다 같이 만드는 것이 돈을 아낄 수 있는 현상을 말합니다.
영어로는 economies of scope라고 합니다. 스코프, 즉 범위가 넓어질수록 경제적 이익이 있다는 정도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범위의 경제가 생기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공통자원의 공유: 여러 종류의 케이크를 만들 때, 일부 재료나 기계를 공유할 수 있으면 돈을 아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같은 반죽을 사용하거나, 같은 오븐을 사용하거나, 같은 직원을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공통자원의 공유가 가능합니다.
- 부가가치의 창출: 여러 종류의 케이크를 만들 때, 각 케이크가 서로 어울리면 더 많은 가치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초코케이크와 바닐라케이크, 치즈케이크와 딸기케이크 등의 조합으로 부가가치의 창출이 가능합니다.
규모의 불경제
규모의 경제란 많이 만들수록 한 개당 비용이 줄어드는 현상이지만, 이것이 무한정으로 계속되는 것은 아닙니다. 많이 만들다 보면 오히려 한 개당 비용이 늘어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규모의 불경제라고 합니다.
영어로는 diseconomies of scale이라고 합니다. 스케일이 커질수록 경제적 손실이 있다는 정도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규모의 불경제가 생기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내부통제의 어려움: 많이 만들다 보면 회사가 복잡해지고 관리가 어려워집니다. 예를 들어, 소통하는데 문제가 생기거나, 갈등이 발생하거나, 규칙이 많아지거나, 효율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외부환경의 변화: 많이 만들다 보면 회사가 속한 업종이나 시장의 환경도 변화합니다. 예를 들어, 다른 회사들의 반응이나 정부의 규제, 공급자나 소비자들의 힘 등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규모의 경제는 많이 만들수록 한 개당 비용이 줄어드는 현상이고, 이것은 분업과 전문화, 고정비용의 분산, 단위변동비용의 감소, 기술적 진보, 경영적 효율성, 시장력의 확보 등의 원인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그러나 규모의 경제는 무한정으로 계속되는 것이 아니고, 어느 정도 규모가 커지면 오히려 한 개당 비용이 늘어나는 규모의 불경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규모의 불경제는 내부통제의 어려움과 외부환경의 변화 등의 원인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규모의 경제와 관련된 다른 개념으로는 범위의 경제가 있습니다. 범위의 경제는 한 회사가 여러 종류의 제품을 만들 때, 각 제품을 따로 만드는 것보다 같이 만드는 것이 돈을 아낄 수 있는 현상입니다.
범위의 경제는 공통자원의 공유와 부가가치의 창출 등의 원인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상으로 규모의 경제에 대한 설명을 마칩니다. 규모의 경제는 경제학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규모의 경제를 잘 이해하고 활용하면 비용을 절감하고 수익을 증대할 수 있습니다.
'경제 >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합경제체제 뜻|특징|장단점|이유|사례 (0) | 2023.10.17 |
---|---|
단기금리|개념과 종류|콜금리,CD금리, CP금리 (0) | 2023.10.15 |
공급의 가격 탄력성이란?|예시포함 (1) | 2023.10.12 |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란?|예시포함 (0) | 2023.10.11 |
시간외거래(매매)란? (0) | 2023.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