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급의 가격탄력성
공급의 가격탄력이란?
공급의 가격탄력이란, 상품의 가격이 변할 때, 그 상품에 대한 공급량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공급의 가격탄력성 공식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공급의 가격탄력성 = 공급량의 변화율 / 가격의 변화율
공급의 가격탄력성 영향 요인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상품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높게 나타납니다.
- 상품의 생산비용이 낮고, 생산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을 때
- 상품에 대한 유휴자원이 많고, 새로운 기업의 진입이 자유로울 때
- 상품의 저장비용이 낮고, 유통기간이 길 때
- 상품의 가격 변화에 대한 반응 시간이 충분할 때
반대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낮게 나타납니다.
- 상품의 생산비용이 높고, 생산량을 어렵게 조절할 수 있을 때
- 상품에 대한 유휴자원이 적고, 새로운 기업의 진입이 어려울 때
- 상품의 저장비용이 높고, 유통기간이 짧을 때
- 상품의 가격 변화에 대한 반응 시간이 짧을 때
공급의 가격탄력성의 종류와 의미
- 완전 비탄력적인 공급 :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0으로, 가격 변화에 관계없이 공급량이 변하지 않는 경우입니다.
- 비탄력적인 공급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경우로, 가격 변화에 따른 공급량 변화가 작은 경우입니다.
- 단위 탄력적인 공급 :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1로, 가격과 공급량이 동일한 비율로 변하는 경우입니다.
- 탄력적인 공급 :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1보다 크고 무한대보다 작은 경우로, 가격 변화에 따른 공급량 변화가 큰 경우입니다.
- 완전 탄력적인 공급 :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무한대로, 아주 작은 가격 변화에도 공급량이 무한대로 변하는 경우입니다.
공급의 가격탄력성과 가격 정책, 세금 부담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상품의 가격 정책과 세금 부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일반적으로, 탄력적인 공급을 갖는 상품의 경우에는 가격을 낮추면 총수익이 감소하고, 가격을 높이면 총수익이 증가합니다.
반대로, 비탄력적인 공급을 갖는 상품의 경우에는 가격을 낮추면 총수익이 증가하고, 가격을 높이면 총수익이 감소합니다. 따라서, 상품의 특성과 시장 상황에 따라 적절한 가격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세금 부담은 공급의 가격탄력성과 반비례하는 관계입니다. 즉,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높은 상품은 세금 부담이 낮고,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낮은 상품은 세금 부담이 높습니다.
마무리
이상으로, 공급의 가격탄력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상품의 특성과 시장 조건에 따라 다르며, 가격 정책과 세금 부담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응형
'경제 >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기금리|개념과 종류|콜금리,CD금리, CP금리 (0) | 2023.10.15 |
---|---|
규모의 경제 정의|원인|범위의 경제|규모의 불경제 (0) | 2023.10.13 |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란?|예시포함 (0) | 2023.10.11 |
시간외거래(매매)란? (0) | 2023.10.10 |
대체재|보완재|기펜재|열등재 의미와 역할 (0) | 2023.10.09 |